728x90
반응형
간호진단: 균 감염으로 인한 과도한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 |||
진단일 : HOD#5 | |||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1. “가래가 너무 많고 잘 안나와요” 2. “가래 잘 나오는 약 좀 주세요” |
|
객관적 자료 | 1. Chest CT상 LLL 부위에 폐경화 및 폐렴 확인됨 나타남. 2. LLL 청진시에 crackle, rhonchi 청진됨 3. 흡인 후 점액성 객담 확인함. 4. WBC 25000/μL, CRP 15mg/dl, ESR 34mm/hr로 inflammation maker 상승 |
||
과학적 근거 | 폐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서 객담 배출을 하지 못해 정체되기 때문에 나타난다. 기도에 있는 분비물이나 폐색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못할 경우 비정상적 호흡음, 호흡수나 깊이의 변화, 청색증, 호흡 곤란, 과다한 객담 및 비효율적인 기침 등의 특성을 나타낸다. 대상자는 현재 과도한 가래로 인해 불편함을 호소하는 중이다. 이는 호흡곤란으로 이어질 수 있고 기존의 비정상적인 호흡음 개선에도 악영향을 미치므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
||
간호목표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청결한 기도를 유지한다. | |
단기 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로 흡인되는 객담의 양이 10cc로 감소한다. 대상자는 3일 이내로 객담배출에 도움이 되는 요소를 2가지 이상 말로 표현할 수 있다. |
||
간호계획 |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 |
<진단적 계획>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2시간 마다 사정한다. 2. 2시간마다 흡인 시 객담의 양상을 사정한다. 3. 2시간마다 복부 또는 흉부 통증을 사정한다. |
1.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지표이다. 2. 객담의 양상을 사정하고 기록함으로써 객담 양, 색 등의 변화를 파악하고 악취나 색깔을 바탕으로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3. 분비물로 기도개방이 되지 않아 얕은 숨 혹은 비효율적인 기침이 발생할 경우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
||
<치료적 계획> 1.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2. 객담배출에 용이한 semi fowler's 자세를 취해준다. 3. 2시간마다 흉부물리요법을 적용한다. |
호흡기질환에서의 가래 배출 곤란증상 완화제 사용시 대상자의 산소수준을 증가시키고 기도개방성을 높일 수 있다. 앉은 자세는 복부의 내용물이 위쪽으로 올라오는 것을 돕과 폐확장을 용이하게 해준다. 이 자세는 더 나은 폐확장과 공기교환을 촉진한다. |
||
<교육적 계획> 1. 보호자에게 가습된 환경이 분비물 배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해 말로 교육한다. |
폐 분비물의 액화를 향상시키고 점막의 가래를 뱉어내는데 적절한 액체 흡입이 도움이 된다. |
728x90
반응형
'Nursing ground > 간호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과정]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진단, 관련요인과 간호목표 (0) | 2023.06.05 |
---|---|
[간호진단]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간호과정 (영양부족 간호진단, 간호목표 및 계획) (0) | 2023.06.02 |
[간호진단] NANDA 피로 간호진단, 수면장애와 관련된 피로 간호과정 (0) | 2023.05.27 |
[간호진단] 심박출량 감소 간호과정 및 간호목표, 관련요인 / 심실부전 간호진단과 심근수축력 변화 (0) | 2022.07.21 |
[간호진단] 감염위험성 간호중재 / 자궁선근증 간호진단 (0) | 2020.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