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의!
이 글은 본인의 투자와 관련하여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개인적 공부 목적의 정리이므로 단순참고용으로만 활용하길 바라며
투자에 따른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1. 새로운 국면에 접어드는
반도체 싸움

3분기 삼성과 TSMC의 파운드리 점유율
1위 : 대만의 TSMC (53.9%)
2위 : 삼성 (17.4%)
반도체는 나노공정이 정밀할수록 성능과 효율 상승
10나노 이하로 공정하는 곳이 위에 언급한 1,2위 업체 삼성과 TSMC
현재는 5나노 공정으로 작업중
더 정밀한 3나노 공정에 대한 경쟁이 시작되었고
3나노 반도체는 AI, 5G, 자율주행, 클라우드에 사용
삼성이 TSMC보다 먼저 계획을 발표
2022년 양산을 시작할 것을 알림.
2. 개발먼저! 삼성 vs 설비먼저! TSMC

삼성전자는 아직 설비 등 구체적 생산 계획은 발표되지 않은 상태
반면, TSMC는 양산에 필수적인 설비를 갖춘 상태
이 상황에서 삼성이 가진 경쟁력은
한 단계 진보한 생산 기술 'GAA'을 확보한점
TSMC는 그보다 덜 효율적인 '핀펫' 기술로 양산 예정
GAA는 채널의 4면을 게이트가 둘러싸는 구조
이 덕분에 전류 흐름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하는 등 채널 조정 능력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누린다.
핀펫의 경우 게이트와 채널이 3면에서 맞닿아
초미세공정에서는 다소 불리한 기술로 알려져 있다.

TSMC의 2나노 GAA는
삼성의 3나노 GAA 공정 2세대와
실질적인 성능이 비슷할 가능성이 크다는 보도.
3. 마지막 정리

결론적으로 삼성은 2022년부터 지금보다 발전된
3나노 반도체 양산에 돌입할 것이고
그 생산과정에서는 GAA라는 새로운 생산기술이 도입되어
경쟁자 TSMC보다 앞서나가는 것을 목표로 나아가는중
현재의 주가상승은 이러한 시장상황을 예측하여 상승
양산이 시작된다면 더욱 올라갈 가능성도 적지 않음
BUT, 리스크가 있다면
TSMC는 삼성보다 기술이 떨어진 상태지만 생산설비가 준비된 상태 이므로
누가 더 빠르게 시장을 점유하는냐가 중요한 상황에서 삼성보다 빠르게 시장을 점유할 수 있는 장점 덕분에
삼성매출에도 분명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
4. 그래서 나의 투자현황은?

현재 삼성전자는 우선주로 매수 중인 상황이며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현재보다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꾸준히 모으고 있다.

5G, 자율주행, 전기차 시장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는 아직 유보중이라
미국의 상장된 반도체 ETF를 통해 투자중
(ETF에서 TSMC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경제 > 투자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폐 전망 트럼프 당선이 코인에 미치는 영향 (0) | 2024.11.19 |
---|---|
트럼프 코인과 비트코인 연관성 총정리! (0) | 2024.11.19 |
금양 주가 전망과 유상증자 총정리 (3) | 2024.11.18 |
백일해 관련주 대장주 TOP 5 총정리 (1) | 2024.11.17 |
[20대 재테크] 1억모으기, 올해 초 시작한 국내주식과 해외주식 투자 현황 (0) | 202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