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vSIM Henry Williams, Part 1 suggested readings / 과제정리

수가노 2023. 5. 27. 00:29
728x90
반응형

vSIM Scenarios Henry Williams, Part 1

반응형

 

Suggested Readings

환자 소개

헨리 윌리엄스는 아내와 함께 작은 아파트에 사는 69세의 은퇴한 철도 시스템 엔지니어다.그는 밤중에 숨이 차서 입원했다. 입원 시 산소 포화도는 82%로 나타났다. COPD와 관상동맥질환 이력이 있고, 귀가 잘 들리지 않는다. 현재는 산소 포화도가 개선되어 비강 캐뉼라로 2 L/min88%로 공급받고 있다. 현재 호흡수는 24-30/min이었다.

 

헨리는 잦은 기억력 상실을 경험하고 있는 아내 에르타를 걱정하고 있다. 에르타는 며느리 베티와 함께 집으로 갔고, 그들은 방금 돌아왔다.

 

그는 호흡곤란으로 입원이 완료되지 않았다. 낙상 위험 평가가 이뤄졌고, 중간 정도의 낙상 위험성을 나타내고 있고, 전반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현재 혈압은 134/88mmHg, 맥박은 112/min, 호흡은 28/min이다. 의식수준은 alert하고 oriented 하다. 아침에 실시한 lab검사 수치는 방금 나왔고, 담당의사는 ABGA 수치를 문의했다. 헨리는 현재 통증은 없고 단지 피곤한 수준이라고 말한다.

 

사전학습

1. [COPD]

1-1.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정의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이란 유해한 입자(담배가 대표적)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비정상적인 염증반응과 이에 동반되어 완전히 가역적이지 않으며 점차 진행하는 기류제한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이다.

 

1-2. 발생현황

자료 분석 기준

건강보험 진료일 기준 20092018(심사일 기준 2009120196월까지)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연간진료현황
진료 환자 수 223,403
진료비 1,329
입원 환자 수 24,002
외래 환자 수 214,265
1인당 내원일수 입원 : 26.3/ 외래 3.7
내원일 당 진료비 입원 : 16만원 / 외래 : 4만원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남성 환자수가 여성의 3배이며, 70대 환자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3. 병태생리

기도 내강의 병리학적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염증과 말초기도의 협착은 주로 FEV(최대흡기량) 감소로 나타나고, 폐기종에 의한 폐실질 손상은 FEV 감소와 가스 교환(폐확산능) 장애를 주로 초래한다. 또한 기도 협착과 더불어 소기도의 감소도 보고되고 있다.

만성기관지염

특별한 원인질환 없이 객담을 동반한 기침이 3개월 이상, 연속적으로 2년 이상 지속되는 상태를 말하지만, 객담을 동반한 기침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 또한 이 병의 증후가 될 수 있다. 만성 기관지염은 기관지에 반복적인 상처와 흉터를 남기며 이로 인한 공기흐름의 장애가 나타나게 된다.

 

폐기종

폐는 수백만 개의 공기주머니로 되어 있는 기관으로 폐기종은 이 공기주머니가 파괴되면서 폐에 점점 커지는 구멍을 만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폐는 그 신축성을 잃고 들어온 공기를 내보내는 데 장애가 발생한다.

 

주요 증상

기침, 객담 생성, 호흡곤란 등의 증세와 위험 인자에 노출 과거력이 있는 환자는 모두 만성폐쇄폐질환의 진단이 고려되어야 한다.

 

1-4. 진단검사

혈액검사

동맥혈가스분석검사(ABGA)를 반복하여 호흡상태의변화를 비교한다. 만성폐쇄폐질환(COPD)이 진행되면 혈액 중 산소량이 감소하고(저산소혈증) CO2량은 증가한다(고탄산혈증). 그 결과 만성호흡산증이 일어나고, 보상으로 동맥혈중 HCO, 증가가 발생한다. 고탄산혈증은 호흡부전의 지표로 사용되며, 악화 및 진행 평가에 유용하다. 급성호흡기감염이 있으면 원인균을 규명하기 위해 객담배양검사를 한다. 백혈구수는 감염 여부를 나타낸다. 혈색소와 헤마토크리트로 다혈구혈증 상태를 알 수 있다. ar-antitrypsin(AAT) 결핍이 의심되면 혈청 AAT 수준을 검사한다.

 

폐기능 검사

폐기능의 측정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폐기능 검사는 증상이 없는 초기 환자에서도 이 질환의 유무를 감별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는 환자 호흡의 속도와 양을 측정하여 기도 폐쇄의 정도를 분석하며 치료 중에도 시간을 두고 반복하여 측정하도록 하여 치료의 효과, 또는 병의 악화를 볼 수 있습니다.

1) FEV1/FVC < 70% 이면 폐쇄성 장애를 의심

(1) FVC 80 % 이면 폐쇄성 장애만 존재

(2) FVC < 80% 이면 제한성 폐장애를 동반/ 또는 낮은 VC를 갖는 폐쇄성 장애

- RV, TLC를 측정하여 LV이 감소하였으면 제한성 폐장애 동반

- LV이 감소하지 않았으면 낮은 VC를 갖는 폐쇄성 장애

 

2) FEV1/FVC 70% 이면 제한성 장애를 의심

(1) FVC < 80% 이면 제한성 장애

(2) FVC 80 % 이면 FEV1를 보고

- FEV1 80 % 이면 정상

- FEV1 < 80 % 이면 폐쇄성 장애 의심

 

흉부 엑스선

매우 심한 폐기종의 경우만 단순 엑스선에서 나타나게 되나 다른 질환과의 감별 및 동반 질환 여부에 대해 조사하는 데 중요한 검사다. 그러나 흉부 X-선 검사는 초기 혹은 경증 단계의 진단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2. [관상동맥질환]

2-1. 정의

관상동맥질환이란 일반적으로 심장의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심장 근육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 지지 못할 때 나타나는 질환이다. 혈관이 좁아지는 원인은 혈관 벽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질이 쌓이는 죽상경화증 그리고 이와 동반된 혈전(피떡) 때문이다. 임상적으로는 협심증, 심근경색증 또는 급사(심장돌연사)의 질병으로 나타난다. 드물게는 과다한 혈관의 수축으로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2-2. 질환

협심증

협심증이란 죽상동맥경화 및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심장혈관)의 내경이 좁아져 심장 근육의 혈류공급에 장애 (심근허혈)가 생기는 경우다. 관상동맥이 좁아져 있기는 하지만 협심증 환자도 휴식 중에는 어느 정도 심장 근육으로 혈액공급이 가능하다. 하지만 운동을 할 때, 언덕이나 계단을 오를 때, 무거운 물건을 드는 등의 힘든 일을 할 때, 정신적으로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에는 심장이 더 많은 일을 해야 하므로 혈액(영양분과 산소)이 더 필요하게 된다.

 

심근경색증

심근경색증은 보통 죽상동맥경화로 협착이 있는 관상동맥에 갑자기 혈전이 생겨 심장근육으로 가는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하게 된다. 이때는 휴식을 취하더라도 계속 가슴이 아프게 된다. 심장 근육에 혈액이 30분 이상 가지 못하면 근육이 죽어버리게 된다. 이 부위는 기능이 없어지게 되므로 심장의 펌프 기능이 떨어져 심부전(심장 기능 저하 상태)로 진행 할 수 있다. 급사란 말 그대로 증상이 나타난 지 1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를 말한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_질병정보_관상동맥질환]

http://anam.kumc.or.kr/dept/disease/deptDiseaseInfoView.do?BNO=267&cPage=&DP_CODE=AACS&MENU_ID=004005

 

3. [산소요법]

3-1. 정의

산소요법은 숨쉬는 노력을 줄이고 심근의 부담를 감소시켜 저산소혈증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환자의 체내로 산소를 제공하는 치료입니다. 치료적 목적으로 산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나 천식, 간질성 폐질환으로 인한 호흡곤란 등의 만성 질환 환자에게도 사용 될 수 있으며, 폐렴, 심부전, 심폐소생술, 외상, 아나필락시스반응 등의 급성 질환 때에도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3-2. 검사/시술/수술방법

비강 캐뉼라: 양쪽 코에 얇은 관을 꽂아 귀에 걸어놓는 형태로, 낮은 산소 농도를 주입할 수 있으며 가장 편안하게 산소를 주입 가능합니다. 장치를 사용하면서 먹거나 말하는 것이 가능하나, 쉽게 빠질 수 있고 캐뉼러와 피부가 닿는 부분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산소마스크: 마스크를 통해 산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비강 캐뉼라보다 높은 산소 농도를 주입할 수 있습니다.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산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습한 산소를 주입할 수 있습니다.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밀착이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입을 사용할 때에는 마스크를 제거해야 합니다.

 

단순 마스크와 산소를 일부 보유할 수 있는 재호흡 마스크, 높은 산소 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비재호흡 마스크가 있습니다.

 

벤츄리마스크는 농도가 높은 산소를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으며, 가습한 산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환자에게 낮은 농도의 산소를 일정하게 제공하는 경우 그리고 응급 환자에게 이용됩니다.  

 

 

728x90
반응형